1. 코로나-19 총력 대응으로 시민 보호망 강화
감염병 대응 체계 구축을 통한 지역 확산 최소화
- 감염병전담병원(시 의료원), 선별진료소(7개소), 해외입국자 격리시설(2개소) 지정·운영
- 목포시의료원, 음압치료를 위한 109병상 확보(도내·외 확진자 등 116명 치료)
- 해외입국자 격리시설(목포축구센터, 서해지방경찰청 숙영관) 운영, 목포역대기소 마련 및 수송 지원 등 선제적 대응으로 지역 확산 차단
- 접촉자 및 의심자에 대한 심층 역학조사와 발빠른 격리조치 시행
- 드라이브 스루 등 현장검사(5,804건), 검체 채취(18,162건) 등 광범위한 역학조사 실시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시민 생활 안정 대책 추진
- 골목상권 회복을 위한 소상공인 경영안전대책 추진
- 목포사랑상품권 발행(400억 원), 시유재산 임대료 및 공공요금 감면(179개소)
- 소상공인 경영자금 이자 지원(1,403건), 착한임대인 확산(341개소), 장사의 신 경영컨설팅(150명)
- 감염병 취약계층 돌봄 및 자체 긴급지원 확대
- 저소득층 마스크 공급(2만명), 사랑의 반찬 지원(300세대), 운수업 종사자 긴급지원(1,574명) 등
코로나 블루 치유 프로그램 및 힐링공간 제공
- 감염병 확산에 따른 심리적 우울 극복을 위한 심리지원 프로그램 제공
- 확진자·가족, 소상공인 및 청소년 대상 심리지원서비스(662명), 방역요원 힐링콘서트(월1회)
- 유휴부지를 활용한 가을 꽃밭 조성으로 시민 힐링공간 조성
- 꽃 정원 조성(2개소, 삼학도·고하도), 남항 일원 대규모 꽃 정원 조성(1km, 3만㎡)※ 2020 전라남도 적극행정 경진대회 우수상(남항 꽃 정원 조성)
2. 미래 3대 전략 산업 육성 기반 확보
한국판 뉴딜 핵심 신재생에너지산업 거점 기반 확보
- 국내 최대 해상풍력발전단지(8.2GW) 조성을 위한 전진기지 조성
- 신항, 해상풍력지원부두 및 배후단지 조성사업 국가계획 반영(총 2,180억 원)
- 대양산단, 해상풍력융복합산업화플랫폼 유치 (총 315억 원)
- 국내 최초 친환경 선박 클러스터 구축
- 남항, 전기추진차도선 개발 및 친환경선박 혼합연료 기술 개발사업 추진(총 950억 원)
전국 제1의 수산식품도시 도약 발판 마련
- 수산식품수출단지 기본계획 마련, 2022년까지 대양산단 내 건립 예정(총 사업비 1,089억 원, 대양산단 내 가공·물류·연구 등 종합 지원시설)
- 서남권 수산종합지원단지(수협이전) 완공, 위판·제빙·유류 등 원스톱 서비스 제공
- 수산식품 고부가가치 가공 산업 활성화 기반 강화
- 수출전략형 김 가공산업, 수산식품 역량강화 정부사업 확정(총 사업비 100억 원)
- 목포 어묵 세계화 사업, 전라남도 지역성장 전략사업 선정(총 사업비 100억 원)
국가 관광브랜드, 대한민국 4대 관광도시 선정
- 문화체육관광부, 관광거점도시 육성 사업 목포시 지정 (‘20.1.)
- 세계적인 관광도시로 육성하기 위한 대한민국 4대 도시 선정 *목포,전주,강릉,안동
- 목포형 관광거점도시 계획 최종 승인(‘20.12.), ‘역사를 품은 한국 제1의 미항’을 비전으로 시간을 걷는 도시, 낭만항구 목포 조성 추진
- 평화광장 해상판타지쇼, 갓바위 문화예술항구 조성 등 (2020년부터 5년간 총 사업비 1,000억원)
- 대한민국 4대 관광도시 선포식(‘20.6.), 목포형 관광거점도시 기본계획 최종 승인(’20.12.)
- 체류형 여행을 위한 관광인프라 확충
- 목포의 매력을 한층 높여줄 관광자원을 신설하고, 체류형 여행객을 위한 대규모 숙박시설 건립 추진(4개소, 총 1,350실 예정)
- 삼학도 목포항구포차 및 관광유람선, 대반동 스카이워크, 고하도 목화체험장 등
- 장좌도 해양관광리조트 착공, 삼학도 및 원도심 일원 대규모 숙박시설 건립 활발 ※ SRT매거진 2020 최고의 국내여행지 대상, 한국관광공사 2020 가을여행지 고하도 선정
- 목포의 매력을 한층 높여줄 관광자원을 신설하고, 체류형 여행객을 위한 대규모 숙박시설 건립 추진(4개소, 총 1,350실 예정)
3.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성장 동력 마련
일자리 확대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 재정지원을 통한 공공일자리와 중년층 일자리 확대, 구인·구직 미스매치 해소를 통한 취업률 제고
- 공공부문 일자리(451명), 희망근로(2,408명), 목포형일자리(수산식품산단 취업173명) 등
- 구인·구직 만남의 날(25개 기업, 400여명 참여), 중장년일자리(사회공헌활동 등 2개 사업)
- 정부의 고용위기지역 지정기간 연장으로 고용 및 취업 촉진 지원, 중소기업 지원 등 지역 맞춤형 일자리사업 추진 동력 확보
- 고용위기지역 연장 건의 반영(당초 ‘20.5. → ‘20.12.→ ‘21.12.까지 재연장)※ 2020 전라남도 일자리창출평가 대상 수상
맞춤형 청년 정책으로 안정적인 정착 지원
- 청년 역량 제고와 취업 연계 지원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 강화
- 청년 잡고(JOB GO) 사업, 취업아카데미 운영, 동·하계 아르바이트 등 9개 사업(325명)
- 실질적인 지원 정책을 통해 창업 성공률 제고와 지역 정착 창업 지원
- 청년창업자 금융지원, 창업아이템 사업화 지원 등 4건(111명)
- 안정적인 미래 준비를 위한 자산 형성 및 자립력 강화 지원
- 희망디딤돌 통장, 근속장려금 지원, 취업자 주거비, 구직활동 수당 지원 등 6개 사업(650명)
- 청년 취·창업 및 사회활동 지원하는 청년·일자리통합센터 운영(‘20.2.개소, 3천여명 이용)
기업하기 좋은 도시 목포, 산단 분양율 대폭 상승
- 3대 전략산업 육성 기반이 마련됨에 따라 대양산단 분양율 대폭 상승
- 국가에너지융복합단지 지정(‘19.11.)으로 유망에너지기업 및 물류기업 투자 확대
- 분양율 (‘18.6.) 44.4%→ (‘19.)70.5%→ (‘20.) 86.1.% (2년반만에 약 42%향상)
- 기업의 수요에 맞춰 투자여건 강화 및 다양한 지원 제공
- 맞춤형 상담(150개소, 350회), 입주 보조금(12개소),자금컨설팅(23개소)
- 대한상공회의소 2020 기업환경 우수지역 평가, 기업체감도 부문 전국 1위
- (공공기관 유치) 2개 기관 완공, 11개 기관 유치 확정으로 소속지원 및 가족 등 1,000여명 유입 예정
- 고하도 호남권생물자원관 완공, 해경서부정비창 및 구.경찰서 부지 3개 기관 건립 준비, 해상풍력플랫폼 등 3대 전략산업 관련 기관 유치 확정
4. 도시 브랜드를 높이는 마케팅 전략화
맛의도시 브랜드 경쟁력 강화
- 목포 으뜸맛집 체계적 관리
- (으뜸 맛집) 으뜸맛집 전체 업소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 및 경영개선을 위한 역량강화 교육 지원 등 고품질 음식문화 정착 추진
- ‘18.~’20. 총 124개소 선정, 으뜸맛집 대표자 간담회 및 친절·위생교육(‘20.6.)
- (간편 음식) 지역 특색을 살린 상품 개발로 시민 신규창업 및 지역경제 활성화 기여
- 주전부리 3종(목화솜빵, 비파다쿠아즈, 맛김새우칩) 레시피 개발 및 전수(8개소 생산ㆍ판매)
- (맛의 거리) 평화광장 일원을 음식관광 활성화 거점 구역으로 조성 추진
- 전라남도 남도음식거리 사업 선정(총 10억원), 전 세대가 즐기는 사계절 바다정식 상차림 개발 및 가로 조성 등
- (으뜸 맛집) 으뜸맛집 전체 업소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 및 경영개선을 위한 역량강화 교육 지원 등 고품질 음식문화 정착 추진
국내외 전략적인 마케팅을 통한 목포 브랜드 확산
- 여행하고 싶은 도시 목포, 브랜드 가치 향상
- 2020 가을 비대면 관광지 100선 ‘고하도’ (한국관광공사), 2020 최고의 여행지 어워드 대상(SRT매거진), 방송통신사 여행지 키워드 언급량 1위
- 미디어를 통한 도시 마케팅 지속 추진
- 다양한 콘텐츠 활용, 목포의 매력 확산(영화·방송 등 국내·외 90여개 프로그램)
- 한국관광공사 홍보영상 ‘Feel the Rhythm of Korea, Mokpo’ 유튜브 3,900만뷰 달성
고하도, 가을 비대면 관광지100선 (한국관광공사)
2020 최고의 국내 여행지 대상 (SRT매거진)
The Rhythm of Korea, mokpo (문체부·한국관광공사)
문화 콘텐츠 차별화 및 문화도시 지정 추진
- (문화재 야행) 모던타임즈를 부제로 근대문화와 가요를 접목한 모던시대 목포 재현 프로그램, 오페라 갈라쇼, 목포재즈 등 콘텐츠 다양화
- 문화재청 문화재야행 공모 선정(4년 연속) 및 우수등급, 온라인 채널 2만 여명 시청
- (목포항구 버스킹) 국의 열정 넘치는 버스커들을 모집해 주요 관광지점(항구포차, 근대역사관1관, 북항노을공원)에서 다양한 장르의 버스킹 공연 추진
- 봄~가을, 현장 및 온라인 공연 총 60회 개최(187팀 참여), 만족도 설문조사 실시(2,448명 참여)
- (대한민국 문화도시) ‘새로운 개항, 문화항구도시 목포’를 비전으로 지역 고유의 문화적 자산을 기반으로 새로운 도시 브랜드인 문화도시 지정 도전
- 시민 거버넌스 구성(‘20.2.), 라운드테이블 개최 및 문화도시추진단 출범(’20.6.)
5. 안전하고 편리한 도시 인프라 확충
목포항 개발 사업 국가 항만계획 대거 반영
- 정부의 제4차 항만기본계획(2021~2030) 확정 (‘20.11.)
- 목포항 개발 사업 22건 반영, 총 8,493억원의 국비 투입 예정
- 목포항 권역별 특화를 통한 서남권의 경제 중심 항만으로 육성
- 신항은 서남권 물류 허브로 (해상풍력 지원부두, 자동차부두, 해경 정비창 등 건설)
- 북항은 서남권 수산업 중심기지로 (국가어업지도선 부두, 물양장 등 확충)
- 내항은 문화·레저·여객·관광 거점으로 육성 (국제여객터미널 확충, 대반동 해안선 및 동명동 물양장 정비 등)
신항→서남권 물류허브
북항→서남권 수산업 중심기지
내항→문화·레저·여객·관광 거점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도시재생사업 추진
- (원도심) 근대 건축 자산의 보존 및 활용을 통한 지역재생사업 및 개항의 역사와 문화를 공간에 담아내는 1897개항문화거리 뉴딜 사업 활성화
- (근대역사문화공간) 종합정비계획 수립완료, 아카이브구축 및 관리프로그램 개발 착수
- (1897개항문화거리, 서산동보리마당) 개항문화거리 간판개선(41개소), 공영주차장 조성(3개소)
- (섬 지역) 노후어항 현대화 및 해양관광 활성화를 통한 섬 정주여건 개선
- 어촌뉴딜 300사업 3년 연속 선정- 달리도·외달도(‘19.), 율도(’20.), 고하도(‘21.)
쾌적하고 편리한 시민 생활 인프라 강화
- (녹지 공간) 시민친화 녹지 공간 조성으로 도심 속 쉼터 확대
- 삼학도 사계절 정원(2,300㎡), 남항 꽃정원(1km,3만㎡), 양을산 나무놀이터 조성 등
- (교통·통신) 교통서비스 품질제고와 공공통신망 확대를 통한 편의 증진
- 공공형버스‘낭만버스’운행(3개 노선), 목포낭만콜 택시서비스 도입(총 1천여대)
- 공공와이파이 확대 설치(주요 관광지, 버스정류장 등 364개소)
- (환경 안전망) 생활 속 유해물질 안전관리 강화로 환경 안전망 구축
- 노후경유차 폐차지원(685대), 대기오염측정소 운영(2개소), 실시간 미세먼지 알림 신호등 설치(6개소)
- (깨끗한 물 관리) 노후 상수관로 정비 등으로 안전하고 깨끗한 수돗물 공급 강화
- 노후 상수관로 정비 (용궁배수지, L=43.2㎞), 스마트 물관리시스템 구축 등
6. 세대와 계층을 아우르는 시민 행복 시책 확대
찾아가는 복지시책으로 사각지대 최소화
- (방문관리)민·관 협력 인적안정망을 확충하여 현장 중심의 생활 밀착형 복지서비스 강화
- 복지사각지대 발굴·지원(14,991세대), 우리동네 복지기동대 활성화(162세대 생활지원)
- (긴급복지 확대)갑작스런 위기상황 해소 및 신속지원을 위한 긴급복지 확대
- 지원 제도 개선(주거 및 금융재산 기준 완화), 긴급지원 확대(총 1,846건, 전년대비 123% 증)
함께 누리는 행복 시책 추진
- (어르신) 생활 편의 제고 및 이용시설 개선 등 어르신의 건강한 노후 생활 증진 지원
- 목욕·이미용권 단가 인상(4천원→5천원, 2만여명), 경로당 신축(3개소) 및 지원물품 확대 (8종→11종), 찾아가는 이동빨래방 (1천여명), 어르신맞춤돌봄서비스 통합지원(3,410명)
- (아동·청소년) 든든한 돌봄 체계 확대 및 건강한 성장 지원 강화
- 국공립어린이집 확충(3개소), 어린이집 전자출결시스템 도입(190개소),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3개소)
- (가족) 가족 친화형 맘(mom) 편한 지원 정책 강화 및 다양한 가족 수요자를 배려한 행복 시책 추진
- 난임 시술·검진 지원(300건), 출산축하금·양육비 지원(2,500건), 이주여성 취·창업지원 등
공공 일자리 창출 및 공공 보건 서비스 강화
- (공공 일자리) 어르신과 장애인 등 취약계층이 참여할 수 있는 일자리를 제공하여 생활 안정과 경제적 기반 지원 강화
- 어르신일자리(2,835명), 장애인일자리(286명), 저소득층 자활일자리(366명)
- (맞춤형 서비스) 보살피고 함께하는 보건의료서비스 제공 및 시민 맞춤형 건강관리 프로그램 지원
- 비대면 건강프로그램 ‘나혼자 걷기 챌린지’ 운영(2회, 2,534명 참여)
- 치매안심마을 지정(유달동) 및 환경개선지원, 치매환자돌봄 물품 지원(359건)
7. 현장 소통 확대와 시민 공감 행정 실현
현장 소통 확대
- (현장소통)현안 사업 현장 및 섬 지역 등 시민과의 현장 소통 강화
- 섬 지역소통의 날(달리도), 코로나-19 극복 대양산단 입주 업체 현장간담회(‘20.5.)
- (참여확대)시민의 의견과 참여가 곧 정책으로 반영되는 소통행정 운영
- 2021년 주민참여예산 편성(26건, 19억 원), 온라인시민청원시스템 운영(시홈페이지)
- (SNS소통)소셜 미디어를 활용해 양방향 소통창구 활성화 및 시민 참여를 확대해 열린 시정 구현
- 페이스북, 유튜브 등 6개 채널 구독자 총 6만여명, 온라인 소식지 낭만항구 목포’ 게시(매주)
투명한 시정운영 및 공직자 신뢰 제고
- (예산운영) 공모사업 선정 및 국고사업 발굴을 통한 예산확보 강화, 예산의 효율적 편성 및 적기 집행으로 재정 건전성 제고
- 공모사업 선정 총 55건(국·도비 1,245억 원), 2021년도 역대 최대 국비확보(8,933억 원)
- (청렴도향상) 강도 높은 반부패청렴시책 추진으로 내·외부 청렴지수 대폭 개선
- 국민권익위 평가, 2020년도 종합청렴도 2등급으로 향상 (‘18. 4등급→’19. 3등급)
- (적극행정) 적극행정 문화 확산을 통해 현장의 문제 신속해결 및 협업 강화
- 적극행정 운영 조례 제정(‘20.3.), 남항 꽃길 조성 및 해양쓰레기 제로화 사업 중점 추진 ※ 2020 전라남도 적극행정 경진대회 우수상
새로운 미래를 위한 대규모 프로젝트 추진
- (세계 섬 엑스포 유치)섬을 주제로 국제기구와 연계한 국제행사를 유치하고 장기적으로 BIE(국제박람회기구) 승인 엑스포 유치를 위한 단계적 준비
- 서남해안 섬 벨트(목포·완도·진도·신안) 협약체결(‘20.10.), 2020 서남해안 섬 포럼 개최(’20.11.)
- (목포역 대개조)목포역을 시·종착역으로 하는 철도망 확충과 미래 관광 수요에 대비한 목포역 철도시설 재배치 및 역사 현대화 추진
- 2021년 국토교통부 용역비 반영(1.5억원), 목포시 자체 용역 착수(‘20.10.)
2020년 수상 실적
분야 | 수상내용 | 주관기관 | 인센티브 (천원) |
---|---|---|---|
경제·관광 | 제16회 대한민국지방자치경영대전 우수상(행정안전부장관상) | 행정안전부 | 1,000 |
2020 전라남도 일자리창출 우수시군 대상 | 전라남도 | 30,000 | |
2020 전라남도 지역경제 활성화평가 최우수상 | 전라남도 | 10,000 | |
2020 전라남도 투자유치대상 우수상 | 전라남도 | 9,000 | |
2020 기업환경 우수지역 평가 전국 1위 | 대한상공회의소 | ||
2020 SRT 최고의 여행지 어워드 대상 | SRT매거진 | ||
도시·행정 | 2020 대한민국 도시대상 최우수상(국무총리상) | 국토교통부 | |
2020 재난관리평가 우수기관 | 행정안전부 | 105,000 | |
2019 상수도 지방공기업 경영평가 우수기관 | 행정안전부 | 50,000 | |
2019 상·하반기 지방재정 신속집행 우수기관 | 행정안전부 | 388,000 | |
2019 상·하반기 지방재정 신속집행 최우수기관 | 전라남도 | 230,000 | |
2020 전라남도 적극행정 경진대회 우수상 | 전라남도 | ||
2019 지방세 징수율 올리기 노력상 | 전라남도 | 20,000 | |
2020 TV조선 경영대상, 브랜드경영부문 대상 | TV조선 | ||
2020 통계업무 진흥 유공 우수기관 | 통계청 | ||
복지·보건 | 2020 주민자치형 공공서비스 구축사업 최우수상 | 행정안전부 | 20,000 |
2020 기초연금 유공기관 | 보건복지부 | 18,000 | |
2020 전라남도 자원봉사평가 최우수상 | 전라남도 | 2,000 |
2020년 공모실적
(단위:백만원)
사업 내용(총 사업비 1억원 이상, 총 35건) | 총사업비 | 국·도비 | 부처 |
---|---|---|---|
지역관광거점도시 육성사업 | 100,000 | 70,000 | 문화체육관광부 |
실감콘텐츠 제작 및 활용 | 1,000 | 500 | 문화체육관광부 |
목포근대역사관 실감콘텐츠 제작 사업 | 1,000 | 500 | 문화체육관광부 |
전기추진 차도선 및 이동식 전원공급시스템 개발사업 | 45,070 | 30,400 | 해양수산부 |
2020년 어촌뉴딜 300사업(율도) | 12,342 | 9,750 | 해양수산부 |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 1,200 | 600 | 국토교통부 |
목포형 수산·식품산업 지원을 통한 일자리창출 프로젝트 | 440 | 390 | 고용노동부 |
사회적경제기업 사업개발비 지원 | 152 | 106 | 고용노동부 |
사회적기업 일자리 창출 지원사업 | 490 | 392 | 고용노동부 |
신중년 경력형 일자리 사업 | 206 | 186 | 고용노동부 |
사회공헌활동 지원사업 | 359 | 190 | 고용노동부 |
2021년 문화재 야행 공모사업 | 372 | 193 | 문화재청 |
2021년 생생문화재 공모사업 | 100 | 52 | 문화재청 |
삼학도 천년숲 산림공원 조성 | 1,100 | 550 | 산림청 |
미세먼지 차단숲 조성 | 1,000 | 500 | 산림청 |
삼학도 무장애 나눔길 조성 | 500 | 300 | 산림청 |
도심권 생활정원 조성사업 | 500 | 250 | 산림청 |
생활밀착형 숲 조성사업 | 500 | 500 | 산림청 |
해안가 우량 곰솔림 방제사업 | 137 | 86 | 산림청 |
자유시장 특성화시장(문화관광형)육성사업 | 1,000 | 500 | 중소벤처기업부 |
2021년 전통시장 노후전선정비사업 | 604 | 302 | 중소벤처기업부 |
동부시장 주차환경개선사업 | 300 | 180 | 중소벤처기업부 |
전통시장 화재알림시설 설치사업 | 204 | 142 | 중소벤처기업부 |
1897개항문화·건해산물상가 거리 간판개선사업 | 800 | 300 | 행정안전부 |
목포청년잡고(JOB GO) 사업 | 391 | 130 | 행정안전부 |
청년 창업아이템 사업화 지원사업 | 175 | 82 | 행정안전부 |
청년창업 후속지원 프로그램 운영 | 175 | 82 | 행정안전부 |
목포어묵 세계화 및 기반구축 육성전략사업 | 10,000 | 5,000 | 전라남도 |
2021년 전통시장 시설현대화사업 | 1,500 | 900 | 전라남도 |
남도음식거리 조성사업 | 1,000 | 500 | 전라남도 |
4050 신중년 버스운송인력 양성사업 | 200 | 100 | 전라남도 |
사회적경제기업 시설장비지원 | 198 | 56 | 전라남도 |
2020 지역대표공연예술제 지원사업 | 187 | 85 | 전라남도 |
마을공동체 활동지원 사업 | 151 | 45 | 전라남도 |
2020년도 공공서비스디자인 공모사업 | 150 | 45 | 전라남도 |